김예림과 오마이걸의 뮤직비디오에서 방을 다루는 방식은 디지페디의 독특한 공간의 의미를 보여준다.

아이돌로지에서만 가능한 아이돌 이야기
김예림과 오마이걸의 뮤직비디오에서 방을 다루는 방식은 디지페디의 독특한 공간의 의미를 보여준다.
아이돌들이 언젠가 소속사의 품을 떠났다가 다시 뭉쳐 활동하고자 한다면, 그 이름을 그대로 쓸 수 있을까? 1세대 아이돌들을 중심으로 현실적 상황을 점검해 본다.
‘대세 걸그룹’ 트와이스가 선택한 서브컬처의 요소들, 드럼 앤 베이스와 코스프레. 완전히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 없는 시대에 이들이 새로움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미소녀의 힘이다. 아무리 무리한 설정이라도 아무 의문 없이 흘려보낼 수 있다. 인류 최후의 미소녀들인데, 어설픈 코스프레를 하고 있는 ‘리얼충’이면 어떻고 좀비가 ‘덕후’라면 또 어떻겠는가.
아주 평범한 여자, ‘오빠’에게 닿을지 알 수 없는 편지를 띄울 수밖에 없었다. 행여 ‘고나리’가 될까 고민하면서도. ‘탈덕’할 순 없었기 때문에.
젝스키스까지 돌아온 지금, 순정과 지조를 지켜온 덕후들을 위해 21세기 뉴밀레니엄 시대의 덕질을 정리해보았다. 오빠들 데뷔 이후에 태어난 친구들에게 ‘냉동인간’으로 놀림 받지 않게 충분히 숙지하자.
‘소녀’, 걸그룹의 영원한 테마, 하지만 다 같은 소녀가 아니다. 아기자기한 서늘함이 담긴 ‘Liar Liar’. 오마이걸은 해외 작곡 팀과 협업을 통해 이미지를 수평으로 확장한다.
〈프로듀스 101〉은 그 자체도 논란거리였지만, 방송을 통해 소개된 곡들 역시 ‘K-EDM’에 관해 많은 이야기를 낳고 있다. 이 이야기에 주목해야 할 시점은 지금이다.
‘Drip Drop’은 물이 물에 떨어지는 자연 현상을 관찰하면서 그 과정을 음악으로 만들어낸다. 유기적으로 촘촘히 결합된 음악과 춤, 형식과 내용이 자아내는 극적인 황홀경.
굳이 타이틀 ‘Whoo!’가 아닌 이 곡을 논하고자 하는 것은, “Prism” 미니앨범의 표제곡은 아니나 주제곡이라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레인보우라는 그룹의 많은 것을 설명해주는 트랙이라고도 생각되기 때문이다.